-
202401
경북대병원 박근규·진종화 교수, 내분비학회 학술상 수상
내분비대사내과 박근규, 진종화 교수 [의학신문·일간보사=박재영 기자] 경북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박근규, 진종화 교수가 10월 26일부터 28일까지 서울 롯데월드호텔에서 열린 '대한내분비학회 추계학술대회 SICEM 2023에서 ‘2023년 대한내분비학회 EnM 학술상’을 수상했다.대한내분비학회 EnM 학술상’은 매년 대한내분비학회지(Endocrinology and Metabolism, EnM)에 우수한 논문을 투고한 회원에게 주어지는 상이다.이번 수상은 박근규, 진종화 교수가 2022년 대한내분비학회지에 게재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증식 또는 이동 억제 효과가 있는 화합물(DN200434)이 혈관평활근세포 이상 증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미치는 영향’의 학문적 우수성과 독창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현재 박근규, 진종화 교수는 대한내분비학회, 대한당뇨병학회, 대한갑상선학회 정회원으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상위 10% 이내의 SCI(E)급 학술지에 주저자로서 논문을 게재하는 등의 연구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출처 : 의학신문(http://www.bosa.co.kr)
VIEW -
202309
칠곡경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들, KSMO서 대거 수상
(왼쪽부터) 칠곡경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채의수, 이수정, 이인희 교수. 칠곡경북대는 혈액종양내과 채의수, 이수정, 이인희 교수가 지난 7일과 8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2023 대한종양내과학회 국제 학술대회(KSMO 2023)에서 각각 ‘최우수 구연상’, ‘최우수 포스터상’, ‘젊은 연구자 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채의수 교수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에리불린(제품명 할라벤)의 효과에 대한 실사용 데이터(real world data)’를 발표해 ‘최우수 구연상(best oral presentation)’을 수상했다.채의수 교수는 “전이성, 재발성 유방암 환자에서 할라벤이 임상시험 뿐만 아니라 실사용 데이터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 유방암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소감을 밝혔다.이수정 교수 또한 이번 학술 대회에서 ‘항암제 과민 반응을 예측하기 위한 카보플라틴 사전 선별 피내 테스트의 비료 연구’라는 주제로 ‘최우수 포스터 상(Best Poster Presentation)’을 수상했다.이 연구는 칠곡경북대병원 알레르기 감염내과 박학기 교수와 공동연구한 것으로, 이수정 교수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아나필락시스 쇼크와 같은 중대한 이상 반응을 피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결과”라고 평가했다.아울러 이인희 교수도 난소암의 복막 전이와 관련이 있는 특정 miRNA를 발굴해 이번 학술 대회에서 ‘젊은 연구자상(Young Investigator Award)’을 수상했다. 이번 연구는 칠곡경북대병원 산부인과 홍대기 교수와 의과대학 허근 교수가 함께 진행했다.난소암의 복막전이는 특히나 나쁜 예후에 영향을 끼치는데 이인희 교수는 이와 관련된 miRNA를 발굴함으로써 “환자 예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수상소감을 전했다.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칠곡경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들, KSMO서 대거 수상 < 기관·단체 < 뉴스 < 기사본문 - 청년의사 (docdocdoc.co.kr)
VIEW -
202309
하윤석 교수, 대한비뇨기종양학회 ‘BLUE학술상’ 수상
칠곡경북대병원은 비뇨의학과 하윤석 교수가 지난 8월 26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 제36회 대한비뇨기종양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BLUE 학술상’을 수상했다고 4일 밝혔다.칠곡경북대병원 비뇨의학과 하윤석 교수.하윤석 교수는 방광암, 전립선암, 신장암 등 비뇨기종양 전반에 걸친 기초 연구 및 임상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업적을 바탕으로 비뇨기종양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3년 제4회 대한비뇨기종양학회 BLUE 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됐다.특히, 하윤석 교수는 응모한 대표 논문 5편을 비롯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출간된 55편의 논문 중, 44편을 SCI급 학술지에 게재했고, 23편의 논문에서 제1저자 및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렸다.하윤석 교수는 “저를 지도해 주신 여러 은사님들과 물심양면 큰 도움을 주신 경북대 의과대학 비뇨기과학 교실 모든 교수님들을 비롯한 병원 식구들, 연구원들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최선을 다해 진료하고 비뇨기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 및 예후 예측을 위한 연구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한편 ‘BLUE 학술상’은 비뇨기종양 분야의 연구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대한비뇨기종양학회가 2020년에 제정한 상이며, 한올바이오파마가 후원한다. 비뇨기종양 분야와 관련한 최근 3년간의 SCI급 논문 및 연구업적을 심사 후 평가해 뛰어난 학술 업적을 이룬 1인을 선정해 상패와 상금을 시상한다.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하윤석 교수, 대한비뇨기종양학회 ‘BLUE학술상’ 수상 < 동정 < 인사·동정·부음 < 기사본문 - 청년의사 (docdocdoc.co.kr)
VIEW -
202308
칠곡경북대병원 전재한·김민지, 경북대병원 이인규 교수 연구팀 최상위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칠곡경북대병원 전재한·김민지, 경북대병원 이인규 교수 연구팀 최상위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칠곡경북대병원 전재한·김민지 교수, 이인규 경북대병원 교수 연구팀은 15일 광주과학기술원 안진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연구한 'PDK4 억제를 통한 숙신산 축적과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막는 허혈-재관류 신손상의 새로운 치료법'(1저자 오창주 경북대 박사, 칠곡경북대병원 김민지 교수, 이지민 경북대 박사)이 신장병 관련 SCIE 최상위 국제학술지 '국제신장저널'(Kidney International)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와 동시에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한빛사)에도 이름을 올렸다.국제신장저널은 비뇨기, 신장과학 분야의 대표 저널인 네이처리뷰신장학(Nature Reviews Nephrology), 유럽비뇨기학(European Urology)과 함께 학계에서 최상위 저널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연구팀은 허혈-재관류 신손상 모델 생쥐의 신장조직에서 미토콘드리아 효소인 PDK4 발현이 증가하고, 근위세뇨관 특이적으로 PDK4를 억제했을 때 신손상이 개선됨을 확인했다.연구팀은 "치료제가 알려져 있지 않은 허혈재관류 신손상의 분자세포학적 기전을 연구하여, PDK4라는 새로운 치료표적을 발굴하고 예방 및 치료효과를 검증한 것이 이 연구의 중요한 의의다"고 설명했다.허현정 기자 hhj224@imaeil.com매일신문 입력 2023-08-16 06:30:00 수정 2023-08-16 08:42:18
VIEW -
202308
권태환 교수, 생리학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 Physiological Review (IF = 33.6)에 폐쇄성 신병증(obstructive Nephropathy)에 관한 논문 게재
권태환 교수, 생리학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 Physiological Review (IF = 33.6)에 폐쇄성 신병증(obstructive nephropathy)에 관한 논문 게재 의학과 권태환 교수는 덴마크 오후스 의과대학(Aarhus University) Norregaard 교수, Mutsaers 교수, Frokiaer 교수와 함께 폐쇄성 신병증에 관한 분자생물학적 병태생리 및 치료의 최신지견을 종합적으로 기술한 논문을 생리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Physiological Review (IF = 33.6) 최신호에 게재하였다. 신장은 수분전해질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장기이다. 특히, 요로 폐쇄는 신장의 혈행역학, 사구체 여과, 세뇨관 상피세포의 물질 이동, 세포 대사 및 전사체와 단백질체 발현 변화 등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간질의 섬유화를 유도함으로써 만성신장질환으로 이어진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신장 섬유증에 강조점을 두고, 요로 폐쇄에 의한 신장 기능 및 구조 변화에 관여하는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설명하면서 최근 개발된 약물 등 치료법을 제시하였다. Norregaard R, Mutsaers HAM, Frokiaer J, Kwon TH. Obstructive nephropathy and molecular pathophysiology of renal interstitial fibrosis. Physiol Rev. doi: 10.1152/physrev.00027.2022. 출처:https://journals.physiology.org/doi/abs/10.1152/physrev.00027.2022?url_ver=Z39.88-2003&rfr_id=ori:rid:crossref.org&rfr_dat=cr_pub%20%200pubmed
VIEW